◆ 상속권
○ 상속이 개시된 경우 피상속인의 유산에 대하여 직계비속․직계존속․형제자매․4촌이내의 방계혈족 및 배우자에게 상속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민법§1000).
◆ 상속순위
○ 제1순위:피상속인의 직계비속(태아를 포함함), 직계비속이 2인 이상인 경우로서 촌수가 같으면 동순위로 상속인이 되고, 촌수가 다르면 가까운 쪽이 선순위 상속인이 되며, 대습상속이 인정됩니다.
○ 제2순위:피상속인의 직계존속(부계, 모계 또는 양가, 생가를 불문함, 다만, 친양자의 경우 생가의 직계존속은 상속인이 아님). 즉, 직계비속이 없는 경우에 상속인이 되며 직계존속이 2인 이상인 경우 그 직계존속들이 촌수가 같으면 같은 순위로 상속인이 되고, 촌수를 달리하면 최근친이 먼저 상속인이 되며, 대습상속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 제3순위:배우자 및 1, 2 순위가 없는 경우 '피상속인의 형제자매'가 상속인이 됩니다. 형제자매는 자연혈족․법정혈족, 동복․이복의 차별이 없고, 형제자매가 2인 이상인 경우 같은 순위로 상속인이 되며, 대습상속이 인정됩니다.
○ 제4순위:피상속인의 3촌부터 4촌 이내의 방계혈족, 이들의 경우는 직계비속, 직계존속, 배우자, 형제자매가 없는 경우에만 상속인이 되고, 촌수가 같으면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 배우자:피상속인의 배우자는 직계비속과 직계존속의 상속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속인과 같은 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고, 그 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는 단독상속인이 됩니다.
○ 특별연고자: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는 피상속인을 요양. 간호한 자 기타 피상속인과 특별한 연고가 있던 자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특별연고자에 대한 분여를 인정합니다.
○ 국가:상속인 수색 공고기간(1년 이상)내에 상속권을 주장하는 자가 없는 때에는 그 상속재산은 국가에 귀속됩니다.
▶▶참고할 사항
2018/02/20 - [세금 이야기] - [상속세] 상속세는 언제부터 납부할 의무가 발생합니까?
2018/02/20 - [세금 이야기] - [상속세] 상속세란 어떤 세금이고, 어떻게 과세됩니까?
'세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상속세 과세대상 재산은 어떠한 것들인가요? (0) | 2018.02.20 |
---|---|
[상속세] 상속재산의 법정상속분 비율은? (0) | 2018.02.20 |
[상속세] 상속세는 언제부터 납부할 의무가 발생합니까? (0) | 2018.02.20 |
[상속세] 상속세란 어떤 세금이고, 어떻게 과세됩니까? (0) | 2018.02.20 |
2018년 종교인 소득과세제도 시행 (0) |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