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한구역 안에서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용도변경이 가능한가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이야기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용도변경이 가능한가

반응형

개발제한 구역 내에서라도 예외적으로 아래에 열거한 경우라면 건축물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변경이 가능하다.

 

주택과 근린생활시설(주택에서 용도변경 되었거나 1999624일 이후에 신축 된 경우만 해당한다) 간에 용도변경을 하는 행위. 다만, 수도법 제 3조 제2호에 따른 상 수원의 상류 하천(하천법에 따른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을 말한다)의 양안 중 그 하천 의 경계로부터 직선거리 1km 이내의 지역(하수도법 제2조 제15호에 따른 하수구처리 구역은 제외한다)에서 1999624일 이후에 신축된 주택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경우에는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설치할 수 없는 시설을 제외한 근린생활시설만 해당한다.

 

- 주택을 고아원, 양로시설 또는 종교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행위

 

- 주택을 다른 용도로 변경한 건축물을 다시 주택으로 용도 변경하는 행위

 

- 개발제한구역에서 공장 등 신축이 금지된 건축물을 별표 1 5호 라목에 따른 근린생 활시설, 보육시설, 양로원 또는 종교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행위(용도 변경된 건축물을 다시 별표 15호 라목에 따른 근린생활시설, 보육시설, 양로원 또는 종교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공장을 연구소, 교육원, 연수원,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조 제7호 에 따른 창고(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고압가스, 위험물 안전 관리법에 따른 위험 물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따른 유독물이 아닌 물품을 저장하는 창고를 말한다)로 용도변경하거나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4조 제1호에 따른 도시형공장으로 업종을 변경하기 위하여 용도 변경하는 행위

 

- 폐교된 학교시설을 기존 시설의 연면적의 범위에서 자연학습시설, 청소년수련시설(청 소년수련관 청소년 수련원 및 청소년 야영장만 해당한다), 연구소, 교육원, 연수원, 도 서관, 박물관, 미술관 또는 종교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행위

- 가축분뇨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라 가축의 사육이 제한된 지역에 있는 기존 축사를 기존 시설의 연면적의 범위에서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보관용 창고 로 용 변경하는 행위

 

- 기존 공항의 여유시설을 활용하기 위하여 항공법 제95조 제 1항에 따른 공항개발사업 실시계획에 따라 기존 건축물을 연면적의 범위에서 용도 변경하는 행위

 

- 별표 1((law0020892017122928521KC_000100E_20171229.pdf)에 따른 건축 또는 설치의 범위에서 시설 상호간에 용도변경을 하는 행위. 이 경 우 기존 건축물의 규모 위치 등이 새로운 용도에 적합하여 기존 시설의 확장이 필요하 지 아니하여야 하며, 주택이나 근린생활시설로 용도 변경하는 것은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지목이 대인 토지에 개발제한구역 지정 이후에 건축물이 건축되거나 공작물이 걸치된 경우만 해당한다.

 

2) 휴게음식점, 제과점 또는 일반음식점으로 용도변경을 할 수 있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어야 하며, 용도변경하려는 건축물의 연면적은 300이하이어야 한다.

- 허가신청일 현재 해당 개발제한구역에서 5년 이상 계속 거주하고 있는 자(이하 ‘5년 이 상 거주자라 한다)

- 허기산청일 현재 해당 개발제한구역에서 해당 시설을 5년 이상 계속 직접 소유하면서 경영하고 있는 자

-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해당 개발제한구역에 거주하고 있는 자

 

3) 용도변경을 하는 휴게음식점, 제과점 또는 일반음식점에는 인접한 토지를 이용하여 200이내의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으며, 주차장을 다른 용도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주차장 부지를 원래의 지목으로 되돌려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