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동주택중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의 건설계획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하고자 하는 일단의 토지의 면적이 30만㎡ 이상일 것. 다만, 다음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① 일단의 토지의 면적이 각각 10만㎡ 이상이고 각 구역의 면적중심간의 최장거리가 1.5km 이내인 경우로서 그 총면적이 30만㎡ 이상이고 각 구역이 15m 이상의 도로로 연결되는 경우
② 종전 국토이용관리법에 따라 지정된 취락지구(10만㎡ 이하인 경우에 한한다)와 연접하여 개발하는 경우로서 기존의 취락지구를 포함한 지구단위계획구역의 면적이 30만㎡ 이상이며 기존취락지구내 또는 신규지구단위계획구역내의 초등학교에서 전체 취학예상아동수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③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자연보전권역에서 10만㎡ 이상으로 구역을 지정하는 경우
④ 구역면적이 10만㎡ 이상으로서 지구단위계획구역 안에 초등학교 용지를 확보하여 관할 교육청의 동의를 얻거나 지구단위계획구역 안 또는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부터 통학이 가능한 거리에 초등학교가 위치하고 학생수용이 가능한 경우로서 관할 교육청의 동의를 얻은 경우
(2)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을 건설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하고자 하는 일단의 토지의 면적이 3만㎡ 이상일 것
(3) 당해 지역에 도로,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공급할 수 있을 것
(4) 자연환경경관미관 등을 해치지 아니하고 문화재의 훼손우려가 없을 것
(5) 생산관리지역농림지역안에 입안하는 산업유통형 지구단위계획은 농업임업축산업 또는 수산업을 위한 것일 것
(6) 도시군기본계획에서 정하는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목표년도 총량 및 단계별 토지수요량 범위안에서 지정할 것. 다만, 목표년도의 총량을 유지하면서 단계별 토지수요량의 30%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재건축사업 (0) | 2018.02.08 |
---|---|
택지공급방법 및 공급가격 (0) | 2018.02.08 |
도시지역외 지역에서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지역 (0) | 2018.02.08 |
지구단위계획 (0) | 2018.02.08 |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의 임대주택 공급조건 (0) | 201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