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피싱 유형별 사례
1. 사기범은 검찰 수사관을 사칭, 검거한 범인이 피해자의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이용하고 있어 계좌 안전조치가 필요하니 금감원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자금을 이체하면 안전하다고 기망하면서 사기범이 확보한 대포통장으로 이체를 유도
2. 사기범은 oo캐피탈을 사칭, 피해자의 신용등급이 낮지만 대출이 가능하다며 대출진행비 및 선납이자를 요구하였고 피해자가 송금하자 이를 편취한 후 잠적
3. 사기범은 oo은행을 사칭, 저금리로 정부지원자금을 받게 해준다며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고금리 대출기록이 있어야 한다고 피해자를 기망하면서 대부업체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도록 한 후 대출금 상환을 사기범이 확보한 대포통장으로 유도하고 이를 편취
4. 사기범이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아들이 사채빚 5천만원을 갚지 않아 납치하였다. 즉시 송금해 주지 않으면 아들을 마취시켜 장기를 적출하겠다”라며 협박
5. 아르바이트 구직사이트의 채용공고를 보고 구직을 신청하였다가 급여계좌 등록 및 출입증 발급에 필요하다고 하여 통장 및 체크카드를 건네주자 대포통장으로 이용
"보이스 피싱 예방 10계명"
1. 검찰․경찰․금감원 등 정부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로 자금의 이체 또는 개인의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있다. 정부기관을 사칭,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거나 안전조치 등을 명목으로 자금의 이체 등을 요구하는 경우는 100% 보이스피싱이므로 이러한 전화를 받는 경우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대표전화*로 전화하여 사실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대검찰청(☎02-3480-2000), 경찰(☎112), 금감원(☎1332)
2. 전화 또는 문자를 통한 대출광고는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연락을 받은 경우 반드시 금융회사의 실제 존재여부를 우선 확인한 후, 대출을 권유하는 자가 금융회사 직원인지 또는 정식 등록된 대출모집인인지 여부를 확인.
* 제도권 금융회사 조회(http://www.fss.or.kr)
대출모집인 등록 조회(http://www.loanconsultant.or.kr)
3. 정상적인 금융회사는 전산비용, 보증료, 저금리 전환 예치금, 선이자 등 어떠한 명목으로도 대출과 관련하여 선입금하라고 요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요구에 절대로 응해서는 안된다.
7. 가족 및 지인 등이 메신저로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유선으로 한번 더 본인임을 확인하고 만약 상대방이 통화할 수 없는 상황 등을 들어 본인 확인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신분을 확인할 때까지는 금전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8.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을 다운받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문자를 클릭하면 악성 코드에 감염되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악성코드 감염은 금융거래 시 파밍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므로 이러한 파일이나 문자는 즉시 삭제하도록 한다.
'남들과는 다른 듯 같을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이체를 잘못했을 경우 대처방법 (0) | 2018.01.28 |
---|---|
저축성보험 추가납입제도[금융감독원 제공] (0) | 2018.01.28 |
현명한 신용관리요령[금융감독원 제공] (0) | 2018.01.26 |
F-4-11 비자의 외국인등록증 발급 절차와 서류 (0) | 2017.12.23 |
[원주여행] 봉산동석조보살입상과 원주역사박물관 내의 봉산동석불좌상 (0) | 2017.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