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구성별 최소 주거면적 및 용도별 방의 개수
가구원 수(인) |
표준 가구구성1) |
실(방) 구성2) |
총주거면적(㎡) |
1 |
1인 가구 |
1 K |
14 |
2 |
부부 |
1 DK |
26 |
3 |
부부+자녀1 |
2 DK |
36 |
4 |
부부+자녀2 |
3 DK |
43 |
5 |
부부+자녀3 |
3 DK |
46 |
6 |
노부모+부부+자녀2 |
4 DK |
55 |
1) 3인 가구의 자녀 1인은 6세 이상 기준 4인 가구의 자녀 2인은 8세 이상 자녀(남1, 여1) 기준 5인 가구의 자녀 3인은 8세 이상 자녀(남2, 여1 또는 남1, 여2) 기준 6인 가구의 자녀 2인은 8세 이상 자녀(남1, 여1) 기준
2) K는 부엌, DK는 식사실 겸 부엌을 의미하며, 숫자는 침실(거실겸용 포함) 또는 침실로 활용이 가능한 방의 수를 말함
3) 비고 : 방의 개수 설정을 위한 침실분리원칙은 다음 각호의 기준을 따름
1. 부부는 동일한 침실 사용 2. 만6세 이상 자녀는 부모와 분리 3. 만8세 이상의 이성자녀는 상호 분리 4. 노부모는 별도 침실 사용 |
'남들과는 다른 듯 같을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도 영구임대주택의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등의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 (0) | 2018.03.08 |
---|---|
부양의무자가 부양능력이 없다는 것은? (0) | 2018.03.08 |
주거급여 중 수선유지급여 지급기준 (0) | 2018.03.08 |
임차급여의 지급대상과 지급기준 (0) | 2018.03.08 |
2018년 주거급여 선정기분 및 최저보장수준 (0) | 2018.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