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사망하기 이전에 자녀 중 장남이 먼저 사망하였는데, 아버지가 장남 사망 전에 장남의 자녀인 A에게 임야를 증여한 경우, 이는 유류분산정을 위한 기초재산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하나요?
민법 제1008조 는 공동상속인 중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의 증여 또는 유증을 받은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공평을 기하기 위하여 그 수증재산을 상속분의 선급으로 다루어 구체적인 상속분을 산정함에 있어 이를 참작하도록 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대습상속인이 대습원인의 발생 이전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이는 상속인의 지위에서 받은 것이 아니므로 상속분의 선급으로 볼 수 없습니다. 그렇지 않고 이를 상속분의 선급으로 보게 되면, 피대습인이 사망하기 전에 피상속인이 먼저 사망하여 상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특별수익에 해당하지 아니하던 것이 피대습인이 피상속인보다 먼저 사망하였다는 우연한 사정으로 인하여 특별수익으로 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대습상속인의 위와 같은 수익은 특별수익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합니다. 이는 유류분제도가 상속인들의 상속분을 일정 부분 보장한다는 명분 아래 피상속인의 자유의사에 기한 자기 재산의 처분을 그의 의사에 반하여 제한하는 것인 만큼 그 인정 범위를 가능한 한 필요최소한으로 그치는 것이 피상속인의 의사를 존중한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보아도 더욱 그러합니다(대법원 2014. 5. 29. 선고 2012다31802 판결). 따라서 위 A는 유류분산정의 기초재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의 임차인이 건물 외벽에 설치한 간판이 추락하여 행인이 부상한 경우 임차인과 임대인 중 누가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0) | 2018.02.08 |
---|---|
공동상속인 중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 유류분청구권 (0) | 2018.02.08 |
부동산거래의 대리권한 (0) | 2018.02.08 |
처가 남편명의 아파트의 분양대금을 빌린 경우 남편의 책임 (0) | 2018.02.08 |
처가 남편명의 아파트의 분양대금을 빌린 경우 남편의 책임 (0) | 2018.02.08 |